바닷물이 따뜻해지니 '이것' 위험 신호!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4일 전북 서해안 해수 시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이 검출된 사실을 22일 확인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4월 23일의 첫 검출 시점보다 약 일주일 빠른 기록이다.
연구원은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군산, 고창, 부안 등 서해안 주요 해역을 대상으로 비브리오 유행예측 감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원 측은 이번 조기 검출에 대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이 비브리오패혈증균의 활동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비브리오패혈증균은 해수 온도가 18℃ 이상으로 올라가면 빠르게 증식하는 특성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바다 밑 갯벌에서 월동하다가 수온이 상승하는 봄부터 여름철에 표층수에서 주로 검출된다.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염 경로는 크게 두 가지다.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충분히 익히지 않고 섭취하는 경우, 또는 상처가 있는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 발생한다. 감염되면 평균 12~72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설사 등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증상 발현 24시간 이내에 주로 다리 부위에 부종, 발적, 반상 출혈, 수포, 궤양 등 심각한 피부 병변이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사람 간 직접 전파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감염될 경우 치사율이 50%에 달할 정도로 매우 치명적이다. 특히 간질환, 당뇨병, 만성 신부전, 면역 저하 질환 등을 앓고 있는 고위험군은 감염 시 사망 위험이 훨씬 높아지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수적이다.
치명적인 비브리오패혈증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철저한 예방이 필수적이다. 어패류 섭취 시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85℃ 이상에서 충분히 가열하여 익혀 먹어야 하며, 보관은 5℃ 이하의 저온에서 이루어져야 힌다. 또한, 어패류 손질에 사용한 도구들은 사용 후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특히,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