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연휴? 웃기지 마라... '무휴' 영업 자영업자들의 처절한 생존기

서울 마포구에서 제과점을 운영하는 김모(43)씨는 "다른 가게들이 문을 닫는 연휴야말로 매출이 늘어나는 '황금타임'"이라며 "일주일에 하루만 쉬어도 매출이 눈에 띄게 줄고, 인건비를 줄이려면 내가 직접 나와야 한다"고 토로했다. 그는 "연휴에는 가족 얼굴 보기도 힘들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2023년 기준으로 15개 주요 업종 프랜차이즈 가맹점 중 정기휴무일이 전혀 없는 곳은 무려 16만 9000여 개로, 전체 가맹점(약 27만 개)의 62.7%에 달한다. 이들은 주말이나 평일 구분 없이 매일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편의점이 가장 심각한 상황이다. 24시간 영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전국 5만 4000여 개 편의점 중 99.2%가 정기휴무 없이 운영되고 있다. 커피전문점과 제과점도 각각 81.4%와 78.3%가 '무휴' 영업을 하고 있어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장시간 영업도 문제다. 전체 가맹점 중 하루 평균 14시간 이상 문을 여는 곳은 약 7만 3000곳(27%)에 달했다. 특히 편의점은 거의 전부가 이 기준에 해당되며, 제과점(34.3%)과 세탁소(24.3%)도 장시간 운영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자영업자들이 쉬지 못하고 장시간 일하는 이유는 치열한 경쟁과 영세한 구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라 해도 대부분 소자본 창업이기 때문에 인건비를 감당할 여력이 없어 본인이 직접 모든 근무를 소화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자영업자들은 "일주일에 하루라도 쉬면 월세가 감당이 안 된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한다.
우리나라 취업자 5명 중 1명이 자영업자지만, 이들의 소득은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연평균 소득은 2022년 4131만 원에서 지난해 4157만 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2019년 말(4242만 원)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소득 회복이 더딘 가운데 대출 연체율도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개별 상환능력에 따라 금융지원, 채무조정, 재기지원 등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결국 많은 자영업자들에게 황금연휴는 그저 '그림의 떡'일 뿐이다. 쉬고 싶어도 쉴 수 없는 현실 속에서, 그들은 오늘도 가게 문을 열고 손님을 맞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