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中포로, 틱톡 보고 참전..‘돈 벌려다 지옥행’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포로로 붙잡힌 중국인 2명이 러시아에 속았다며 전쟁 참여를 후회하고 중국 송환을 호소하고 나섰다. 왕광쥔(34)과 장런보(27)는 1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가 한 말은 전부 거짓이었다”며 “동포들은 이 전쟁에 절대 참여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왕 씨는 실직 후 중국 내 틱톡에서 본 러시아군 모집 광고를 통해 입대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광고에는 월 20만~25만 루블(한화 약 346만~432만 원)의 고수익을 보장하고, 비자와 이동경비, 서류 처리까지 도와준다고 되어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러시아에 입국한 직후 휴대전화와 은행카드를 모두 압수당했고, 계약 조건은 전혀 이행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얼마를 벌고 있는지도 모른 채 모든 걸 통제당했다"고 말했다.

 

왕 씨는 타타르스탄 카잔과 로스토프나도누를 거쳐 우크라이나 돈바스 전선에 배치됐다. 훈련소에서는 물과 전기가 끊긴 채 생쌀 한 줌으로 하루를 버텨야 했고, 탈영은 총기로 무장한 감시병들 때문에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 외국인 용병이 탈출을 포기하고 자살했다”며 참혹한 상황을 증언했다.

 

전선에서 포로로 붙잡히기 직전에는 러시아군이 사용한 화학무기에 노출돼 질식 위기를 겪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숨이 멎을 것 같던 순간, 누군가가 나를 끌어내 신선한 공기로 데려갔다. 우크라이나군이었다"고 말했다. 왕 씨는 이 경험을 통해 “러시아가 말한 것과 현실은 전혀 달랐다”고 강조했다.

 

함께 포로가 된 장 씨는 원래 소방관 및 구조대원 출신으로, 관광 목적으로 러시아에 입국했다가 전쟁에 휘말리게 됐다고 털어놨다. 그는 건설 일자리를 소개받았지만 이후 러시아군 모집 담당자와 접촉했고, 돈을 벌기 위해 자발적으로 계약했다. 그러나 장 씨 역시 곧 ‘스톰-Z’라는 부대에 배치됐고, 이 부대는 러시아군 정규 병력이 투입되기 전 적의 전력을 소모시키는 총알받이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장 씨는 참전 며칠 만에 우크라이나군에 붙잡혔으며, “부모님이 아직 내가 전쟁에 참여한 걸 모른다. TV에서 보실지도 모르니, 살아 있다는 걸 전하고 싶다”고 울먹였다. 그는 “벌을 받더라도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호소했다.

 

 

 

기자회견은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이 주관했으며, 두 포로는 모두 “중국 정부와는 무관하게 개인적으로 돈을 벌기 위해 참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 씨는 “중국은 참전 자체를 금지하고 있는 만큼, 귀국 후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있다. 감수하겠다”며 “가족에게 돌아가고 싶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중국인들에게 참전을 강력히 말리며, “전쟁은 TV에서 보는 것과 전혀 다르며, 시작되면 모든 게 거짓임을 알게 된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고향은 밝히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난 8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표를 통해 중국 국적 포로가 생포됐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후 참전 중인 중국인 수가 155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자국민에게 어떤 형태로든 무력 분쟁에 관여하지 말라고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주장을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이번 사건은 러시아가 SNS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외국인 모집을 확대하고 있다는 의혹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으며, 전쟁의 실상을 경험한 외국인 용병들의 증언이 충격을 더하고 있다. 왕 씨와 장 씨는 포로 교환을 통한 송환을 희망하고 있으며, 중국 귀환 후 자국법에 따라 처벌받는 것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