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 도전 받은 이정후, 이젠 터져야 할 때

2024년 메이저리그 시즌을 맞이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이정후(27)의 첫 시즌에 큰 기대감을 걸고 있었다. 이정후는 2023-2024 메이저리그 이적 시장에서 샌프란시스코가 단행한 가장 큰 계약의 주인공이었다. 그는 구단이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로 여겨졌으며, 이에 따라 6년 총액 1억1300만 달러(약 1,300억 원)의 대형 계약을 체결했다. 스프링트레이닝이 시작되면서 이정후는 샌프란시스코의 주목받는 선수로 자리 잡았고, 감독 밥 멜빈은 첫날부터 "이정후가 개막전 리드오프와 중견수로 나서지 않으면 이상하다"고 말하며 그에 대한 신뢰를 확실히 드러냈다.

 

하지만 이정후는 첫 시즌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한 성적을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부상으로 인해 총 37경기 출전에 그쳤고, 타율 0.262, 출루율 0.310, 2홈런, 8타점, 2도루, OPS 0.641이라는 저조한 기록을 세웠다. 메이저리그 평균 OPS를 기준으로 한 조정 OPS는 86으로, 평균보다 14% 낮은 수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샌프란시스코의 언론과 구단은 이정후에 대한 평가를 유보하며, 그의 첫 시즌이 단지 적응 기간일 뿐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타구 속도, 콘택트 비율, 헛스윙 비율 등 세부 지표는 나쁘지 않았고, 후반기로 갈수록 성적이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했다.

 

 

하지만 두 번째 시즌인 2025년은 이정후에게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만약 그가 성적을 증명하고 잠재력을 보여준다면, 샌프란시스코는 여전히 그를 핵심 선수로 바라볼 것이다. 반면, 성과가 부진하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까지 메이저리그에서 이정후의 성적은 부족했기 때문에, 2025년 시즌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그는 부상 이력을 고려할 때, 건강하게 풀타임을 소화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미국의 스포츠 전문 매체 '디 애슬레틱'은 2025년 시즌을 앞두고 샌프란시스코의 주요 이슈로 이정후를 언급하며 그가 "대체 레벨의 선수인지, 아니면 스타로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 이 매체는 이정후가 샌프란시스코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그가 스타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여부가 팀의 성적을 좌우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가 KBO리그에서 7시즌 동안 타율 0.340을 기록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첫 시즌의 성적이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정후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유효하다. '디 애슬레틱'은 이정후가 팀의 리드오프와 중견수로서 다시 그 임무를 맡을 것으로 예상하며, 그가 100% 상태로 스프링트레이닝을 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디 애슬레틱'은 이정후에 대한 의문도 제기했다. 첫 번째는 그의 장타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대 야구에서 장타율과 출루율이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데, 이정후가 단순히 안타에 집중된 타자로 머물 경우 그 가치를 증명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두 번째로는 주루 능력이다. 이정후는 기동력에서 평균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주루에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특히 도루를 시도한 5번 중 3번을 실패한 것은 기동력에 대한 의문을 낳았다. 마지막으로 가장 큰 문제는 부상이다. 이정후는 지난해 어깨 부상으로 37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이러한 부상 이력이 반복된다면 그의 가치는 급격히 하락할 수 있다.

 

'디 애슬레틱'은 이정후가 스프링트레이닝에서 부진한 답을 내놓지 못하더라도, 시즌을 통해 충분히 답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즌 초반 이정후의 성적이 팀의 향후 성적을 크게 좌우할 것이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가 성적을 내지 못하면 포스트시즌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점에서, 그에게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이정후는 자신의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중요한 시즌을 맞이하며, 이미 준비는 마친 상태다. 그의 건강과 페이스가 올 시즌 샌프란시스코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