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2만명 파병 예고..전쟁 판도 뒤집히나?
![word1.jpg](http://img.imagepola.com/20250206/64adb45d606dab60887c0a5831cc257e864845061.jpg)
2일(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은 키이우 인디펜던트와 RBC 등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강화를 경고하며, "곧 2만명이 넘는 북한군이 쿠르스크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정보가 여러 방면에서 전해졌다"고 밝혔다. 그는 추가 병력 파병 시점과 구체적인 배치 계획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젤렌스키는 이들이 전선에 배치될 경우, "북한군 1차 파병군이 상당한 손실을 보고 후방으로 물러갔지만, 현대전 경험을 쌓아 위협적인 존재로 변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북한군이 전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음을 경고하며 "이것은 미국을 포함한 역내 많은 국가들에게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31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방면에서 러시아군 중앙지휘소를 타격하며, 그 과정에서 북한군과 러시아군의 핵심 장교들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미사일과 다양한 무기를 사용해 그들 수십 명의 장교들을 사살했다"고 전했다.
![word2.jpg](http://img.imagepola.com/20250206/8b45e6711a51c7fab179ff18525c76d01027253635.jpg)
이번 발언은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러시아가 이란, 북한과의 동맹을 강화하는 양상에 대한 우려와도 관련이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는 수십 년 만에 이란과 북한과의 동맹을 공식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과거에도 기술과 무기 등을 주고받았지만, 이제는 이를 적극적으로 전쟁에 투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세 나라의 결속은 핵보유국으로서 미국을 상대로 한 동맹을 형성한 것으로, 매우 위험한 동맹"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은 지난 2022년 11월, 1만1천여 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한 바 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군이 점령한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되었으나, 상당한 피해를 입고 후방으로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서방 당국은 북한군의 사상자와 실종자가 약 4천명에 달한다고 보고 있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북한군의 전력이 파병 후 3개월 만에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언급했다.
젤렌스키는 또한 북한군 지휘관들이 휘하 병사들을 "소모품"으로 취급하며, 후퇴를 막기 위해 즉결처형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이는 북한군의 잔혹한 전투 방식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북한의 군사 개입에 대한 경계감을 더욱 강화시킨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8월, 기습적으로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국경지대 일부를 점령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해 러시아는 자국 영토 내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기 위한 작전을 벌여왔다. 그러나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이 강화되면서, 우크라이나의 군사 전략과 전선에 대한 상황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번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은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들에게 북한의 군사적 개입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며, 국제 사회의 대응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